Synology에서 제공하는 rsync 기능은 원격지에 있는 다른 서버와 데이터를 동기화하거나 백업할 때 사용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Linux/Unix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rsync
명령어를 Synology NAS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효율적이고 유연한 파일 전송 및 백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Synology rsync 란?
- rsync는 파일 및 디렉터리를 네트워크를 통해 효율적으로 복사 또는 동기화하는 명령어 기반 유틸리티입니다.
- Synology NAS는 이 기능을 내장하여 다른 Synology NAS, Linux 서버, 또는 rsync를 지원하는 어떤 장치와도 연동할 수 있습니다.
- 차등 백업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변경된 부분만 전송되어 네트워크 자원을 아끼고 속도도 빠릅니다.
주요 활용 사례
- 원격지 백업
- 본사 NAS → 지사 NAS로 주기적 데이터 백업
- 양방향 동기화
- 팀 간 공동 작업 폴더를 실시간 또는 예약으로 동기화
- Linux 서버와 NAS 간 파일 전송
- 외부 리눅스 서버에서 NAS로 주기적 데이터 전송
Synology rsync 설정 방법 (NAS → NAS 또는 NAS → Linux)
1. rsync 서버 활성화 (수신 측 NAS에서)
- DSM에 로그인
- 제어판 → 파일 서비스 → rsync 탭 선택
- “rsync 서비스 활성화” 체크
- 필요 시 사용자 계정 또는 rsync 전용 사용자 설정
- 방화벽 및 포트(기본 873) 개방 여부 확인
2. 송신 측에서 작업 생성
- Hyper Backup 또는 Task Scheduler 사용 가능
- Hyper Backup을 사용할 경우:
- Hyper Backup 실행 → “rsync” 방식 선택
- “rsync-compatible server” 또는 “Synology rsync server” 선택
- IP 주소,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입력
- 백업할 폴더 선택 및 스케줄 설정
- 또는
rsync
명령어 직접 사용 (SSH 기반) rsync -avz /path/to/source user@remote-ip:/path/to/destination
보안 및 네트워크 설정
- SSH 터널링을 통해 전송 시 암호화 가능 (
-e ssh
옵션 사용) - rsync 기본 포트는
873
이므로, 라우터 및 NAS 방화벽 설정에서 허용 필요 - 비밀번호 없이 자동 백업을 하려면 SSH 키 기반 인증 설정 가능
장점 요약
- 차등 백업으로 효율적인 전송
- 크로스 플랫폼 지원 (Synology ↔ Linux/Windows)
- Hyper Backup과 연계하여 관리 용이
- 커맨드라인 자동화 및 스크립트 연동 가능
'Synology 시놀로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NAS 백엔드서버 구축하기 (1) | 2025.04.07 |
---|---|
2025.1월 DSM 7.2.2 버전 - php 버전확인 및 라라벨 설치가능 버전 (0) | 2025.01.17 |
Synology 서버에서의 LDAP Server란? (0) | 2024.08.26 |
시놀로지에서 세팅한 컨테이너가 삭제가 안될 경우(도커) ? (무한반복 삭제불능) (0) | 2024.07.10 |
Synology > Web Station 에 대해서 알아보기 (0) | 202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