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는 폴더나 파일명 바로 앞에 점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bash_history
.bash_profile
.bashrc
.inputrc
.vimrc
.wgetrc
특히 home 디렉토리 밑의 사용자 설정 파일들은 대체로 앞에 점이 찍혀 있습니다.
이것은 숨겨진 파일 즉 히든 파일입니다.
도스나 윈도우의 파일들은 파일의 속성을 변경하여 히든 파일로 만드는데, 리눅스/유닉스에서는 파일명 앞에 점을 하나 찍음으로써 파일을 숨기게 됩니다.
home 디렉토리에 있는 설정 파일들이 히든 파일인 이유는 아마도, home 디렉토리는 여러가지 파일 작업을 하는 곳이기에, 실수로 설정 파일을 건드리지 않도록 하는 배려일 것입니다. 각종 명령의 실행에서, 히든 파일은 제외됩니다.
#히든파일 모두보기
ls -al
위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히든파일까지 모두 볼 수 있습니다.
'리눅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 Nginx 리버스 프록시 설정 (외부IP -> 내부IP 로 연결하기) (0) | 2025.03.08 |
---|---|
ssh 접속 포트 변경하기 22 (0) | 2025.02.07 |
리눅스 버전 확인 - linux OS (0) | 2025.01.01 |
VI 에디터 다루기 (0) | 2022.08.31 |
[리눅스] 명령어 정리 chmod : 권한변경 (0) | 2022.08.17 |
리눅스에는 폴더나 파일명 바로 앞에 점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bash_history
.bash_profile
.bashrc
.inputrc
.vimrc
.wgetrc
특히 home 디렉토리 밑의 사용자 설정 파일들은 대체로 앞에 점이 찍혀 있습니다.
이것은 숨겨진 파일 즉 히든 파일입니다.
도스나 윈도우의 파일들은 파일의 속성을 변경하여 히든 파일로 만드는데, 리눅스/유닉스에서는 파일명 앞에 점을 하나 찍음으로써 파일을 숨기게 됩니다.
home 디렉토리에 있는 설정 파일들이 히든 파일인 이유는 아마도, home 디렉토리는 여러가지 파일 작업을 하는 곳이기에, 실수로 설정 파일을 건드리지 않도록 하는 배려일 것입니다. 각종 명령의 실행에서, 히든 파일은 제외됩니다.
#히든파일 모두보기
ls -al
위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히든파일까지 모두 볼 수 있습니다.
'리눅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 Nginx 리버스 프록시 설정 (외부IP -> 내부IP 로 연결하기) (0) | 2025.03.08 |
---|---|
ssh 접속 포트 변경하기 22 (0) | 2025.02.07 |
리눅스 버전 확인 - linux OS (0) | 2025.01.01 |
VI 에디터 다루기 (0) | 2022.08.31 |
[리눅스] 명령어 정리 chmod : 권한변경 (0) | 2022.08.17 |